1923년 전국체육대회 정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23년 전국체육대회 정구 경기는 1923년 10월 15일부터 10월 17일까지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개최되었다. 소학부, 중학부, 청년부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소학부 종목이 신설되어 더 많은 선수들에게 참가 기회를 제공했다. 금강구락부가 청년부에서 우승하며 3회 연속 우승을 차지했고, 중학부에서는 휘문고등보통학교가, 소학부에서는 선천공립보통학교가 각각 우승했다. 경기도가 종합 1위를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국소년체육대회 12세이하부 정구단에 관한 - 1924년 전국체육대회 정구
1924년 전국체육대회 정구는 일제강점기 제4회 전조선정구대회의 정구 종목 경기로, 민족의 자긍심 고취와 민족 역량 강화의 계기가 되었으며 한국 스포츠 발전에 기여한 대회이다. - 1923년 정구에 관한 - 1923년 동아일보기 전국소프트테니스대회
1923년 동아일보기 전국소프트테니스대회는 8개 학교가 참가한 여자 고등보통학교 대항 소프트테니스 대회로, 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가 우승했다. - 1923년 정구에 관한 - 1923년 전조선전문학교연합정구대회
1923년 전조선전문학교연합정구대회는 1923년 경성 및 수원 지역 전문학교 정구단들이 참가하여 경성고등상업학교가 우승한 정구 대회이다. - 1923년 정구 - 1923년 동아일보기 전국소프트테니스대회
1923년 동아일보기 전국소프트테니스대회는 8개 학교가 참가한 여자 고등보통학교 대항 소프트테니스 대회로, 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가 우승했다. - 1923년 정구 - 1923년 전조선전문학교연합정구대회
1923년 전조선전문학교연합정구대회는 1923년 경성 및 수원 지역 전문학교 정구단들이 참가하여 경성고등상업학교가 우승한 정구 대회이다.
1923년 전국체육대회 정구 | |
---|---|
대회 정보 | |
연도 | 1923 |
종류 | 하계 |
종목 | 정구 |
영어 종목 | Soft Tennis |
픽토그램 | Soft tennis pictogram.svg |
개최국 | 일제강점기 조선 |
개최 도시 | 경성 |
개최 기간 | 1923년 10월 15일~10월 17일 |
경기장 |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 |
참가 정보 | |
선수단 | 5 |
참가 선수 | 138 |
남자 선수 | 138 |
종목 수 | 3 |
남자 종목 | 3 |
일반부 | |
일반부 선수 | 66 |
일반부 남자 선수 | 66 |
일반부 종목 수 | 1 |
일반부 남자 종목 | 1 |
18세 이하부 | |
18세 이하부 선수 | 36 |
18세 이하부 남자 선수 | 36 |
18세 이하부 종목 수 | 1 |
18세 이하부 남자 종목 | 1 |
12세 이하부 | |
12세 이하부 선수 | 36 |
12세 이하부 남자 선수 | 36 |
12세 이하부 종목 수 | 1 |
12세 이하부 남자 종목 | 1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1922 |
다음 대회 | 1924 |
2. 대회 진행
1923년 10월 15일부터 10월 17일까지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제3회 전조선정구대회가 개최되었다.[1] 이 대회부터 소학부 종목이 신설되어 더 많은 선수들에게 참가 기회를 제공했다.[1]
소학부, 중학부, 청년부 종목에 각각 6개, 6개, 11개의 선수단이 참가했다.[1] 소학부 종목 결승에서는 선천공립보통학교가, 중학부 종목에서는 휘문고등보통학교가 우승했으며, 청년부 종목에서는 금강구락부가 3회 연속 우승을 달성했다.[1]
2. 1. 참가 선수단
제4회 전조선정구대회는 소학부, 중학부, 청년부로 나뉘어 경기가 진행되었으며, 경성, 개성, 평양, 함흥, 원산, 순천, 선천, 진남포 등 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학교 및 청년회 소속 정구단이 참가하였다.[1]2. 1. 1. 소학부
1923년 전국체육대회 정구 소학부 경기에는 보성초등학교 정구단, 선천공립보통학교 정구단 등 6개 선수단이 참가했다.정구단 | 도시 | 첫 참가 | 횟수 | 선수 |
---|---|---|---|---|
보성초등학교 정구단 | 경성 | 1923 | 1 | 송영의, 신달식, 이교필, 이다복, 전창기, 조덕선 |
선천공립보통학교 정구단 | 선천 | 1923 | 1 | 김진국, 문창렬, 이윤성, 정인진, 정창환, 최도흥 |
송도제이보통학교 정구단 | 개성 | 1923 | 1 | 김광덕, 동명순, 오광식, 우상훈, 임준성, 최진용 |
송도제일보통학교 정구단 | 개성 | 1923 | 1 | 김덕중, 김백년, 심종국, 음두영, 임무경, 허용국 |
인현공립보통학교 정구단 | 경성 | 1923 | 1 | 김상용, 손윤산, 윤이봉, 이광우, 이종탁, 정문택 |
진남포제일공립보통학교 정구단 | 진남포 | 1923 | 1 | 김제보, 배선덕, 배선칠, 신을용, 이시영, 이종일 |
2. 1. 2. 중학부
제4회 전조선정구대회 중학부 경기에는 휘문고등보통학교 정구단, 양정고등보통학교 정구단 등 6개 선수단이 참가했다.정구단 | 도시 | 첫 참가 | 횟수 | 선수 |
---|---|---|---|---|
광성고등보통학교 정구단 | 평양 | 1923 | 1 | 김석희, 송선호, 옥영빈, 우호근, 이관용, 이성배 |
동광학교 정구단 | 경성 | 1923 | 1 | 박을환, 손효신, 유진훈, 정기복, 조세신, 황정수 |
배재고등보통학교 정구단 | 경성 | 1923 | 1 | 김예현, 김용한, 박인국, 이신용, 장덕진, 장용남 |
송도고등보통학교 정구단 | 개성 | 1921 | 3 | 방계환, 유은상, 이련업, 이우번, 이홍종, 한진영 |
양정고등보통학교 정구단 | 경성 | 1921 | 3 | 김광소, 김백운, 김연창, 심윤중, 유재희, 이동근 |
휘문고등보통학교 정구단 | 경성 | 1921 | 3 | 김안식, 남궁호, 손흥원, 이홍정, 장원진, 조택원 |
2. 1. 3. 청년부
제4회 전조선정구대회 청년부에는 금강구락부 정구단, 경성법학전문학교 정구단 등 11개 선수단이 참가했다.[1]정구단 | 도시 | 첫 참가 | 횟수 | 선수 |
---|---|---|---|---|
개성남부엡웟청년회 정구단 | 개성 | 1921 | 2 | 김명환, 김흥길, 박홍근, 원제양, 유개동, 전흥순 |
경성법학전문학교 정구단 | 경성 | 1921 | 3 | 강선형, 김영환, 박두호, 유정희, 이종철, 장상유 |
금강구락부 정구단 | 경성 | 1921 | 3 | 구종태, 김원태, 안정원, 연학년, 정규창, 황명원 |
보성전문학교 정구단 | 경성 | 1923 | 1 | 김천수, 박상근, 박성희, 송준도, 오병근, 최신용 |
순천지방청년회 정구단 | 순천 | 1923 | 1 | 김량직, 김상기, 임철호, 정종호, 채갑묵, 하동숙 |
숭실대학 정구단 | 평양 | 1923 | 1 | 강영환, 김유성, 김희태, 이윤섭, 이인선, 정동익 |
연희전문학교 정구단 | 경성 | 1923 | 1 | 김익중, 오세창, 우상현, 임봉춘, 장기원, 최경식 |
원산청년회 정구단 | 원산 | 1921 | 2 | 김양봉, 김인수, 임보균, 최광래, 최영제, 한맹석 |
전휘문 정구단 | 경성 | 1923 | 1 | 고희서, 김원량, 김필응, 양승택, 이경구, 이하영 |
함흥체육회 정구단 | 함흥 | 1923 | 1 | 김수복, 이동윤, 이택용, 최석일, 한태환, 황동익 |
휘문강습 정구단 | 경성 | 1923 | 1 | 기성섭, 손준범, 송영철, 신철균, 장순남, 최문기 |
모든 경기는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진행되었다.
大正|다이쇼일본어 12년(1923년) 10월 15일부터 10월 17일까지 3일간 정구 경기가 진행되었다. 15일에는 소학부, 16일에는 중학부, 17일에는 청년부 경기가 순차적으로 진행되었다.[1]
3. 경기장
4. 경기 일정
구분 10월 15일 10월 16일 10월 17일 소학부 O 중학부 O 청년부 O
5. 경기 결과
구분 우승 청년부 금강구락부 정구단[5][6][2] 중학부 휘문고등보통학교 정구단[5] 소학부 선천공립보통학교 정구단[5]
1923년 전국체육대회 정구 경기는 청년부, 중학부, 소학부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경기 결과는 위 표와 같다. 청년부에서는 금강구락부 정구단이 경성법학전문학교 정구단을 3:1로 꺾고 3회 연속 우승하여 우승기를 영구히 소유하게 되었다. 중학부에서는 휘문고등보통학교 정구단이, 소학부에서는 선천공립보통학교 정구단이 각각 우승을 차지했다.
5. 1. 청년부
청년부 남자 단체 종목에는 개성남부엡웟청년회 정구단, 경성법학전문학교 정구단, 금강구락부 정구단, 보성전문학교 정구단, 순천지방청년회 정구단, 숭실대학 정구단, 연희전문학교 정구단, 원산청년회 정구단, 전휘문 정구단, 함흥체육회 정구단, 휘문강습 정구단 등 11개 정구단이 참가했다.[1][2][3]
1923년 10월 16일에 중학부 남자 단체 준결승 경기가 종료된 후 청년부 남자 단체 종목 경기가 시작되었다. 1라운드 첫 번째 경기는 연희전문학교 정구단과 휘문강습 정구단의 경기로 휘문강습 정구단이 3:2로 승리하여 8강에 진출했다. 12시 30분부터 시작된 두 번째 경기는 보성전문학교 정구단과 금강구락부 정구단의 경기로 금강구락부 정구단이 3:0으로 승리하여 8강에 진출했다.[4] 같은 날 14시 20분부터 시작된 세 번째 경기는 개성남부엡웟청년회 정구단과 원산청년회 정구단의 경기로 원산청년회 정구단이 3:2로 승리하여 8강에 진출했다.[4]
1923년 10월 16일 15시 30분에 시작된 8강 첫 번째 경기는 함흥체육회 정구단과 휘문강습 정구단의 경기로 함흥체육회 정구단이 3:1로 승리하여 준결승에 진출했다. 8강 두 번째 경기는 원산청년회 정구단과 전휘문 정구단의 경기로 전휘문 정구단이 3:0으로 승리하여 준결승에 진출했다.[5] 이어서 진행된 8강 세 번째 경기는 금강구락부 정구단과 순천지방청년회 정구단 간의 경기로 금강구락부 정구단이 3:0으로 승리하여 준결승에 진출했다.[5] 1923년 10월 17일 9시에 시작된 8강 네 번째 경기는 숭실대학 정구단과 경성법학전문학교 정구단의 경기로 경성법학전문학교 정구단이 3:1로 승리하여 준결승에 진출했다.[5]
8강 경기가 종료된 후 준결승 대진 추첨을 진행했고, 10시 30분에 시작된 준결승 첫 번째 경기는 함흥체육회 정구단과 금강구락부 정구단의 경기로 금강구락부 정구단이 3:1로 승리하여 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 두 번째 경기는 전휘문 정구단과 경성법학전문학교 정구단의 경기로 경성법학전문학교 정구단이 3:2로 승리하여 결승에 진출했다.[5]
1923년 10월 17일 15시 30분부터 16시 30분까지 진행된 결승 경기는 금강구락부 정구단과 경성법학전문학교 정구단의 경기로 금강구락부 정구단이 3:1로 승리하며 3회 연속 우승을 달성하여 우승기를 영구히 소유하게 되었다.[5][6][2]
5. 2. 중학부
중학부 남자 단체 종목에서는 광성고등보통학교 정구단, 동광학교 정구단, 배재고등보통학교 정구단, 송도고등보통학교 정구단, 양정고등보통학교 정구단, 휘문고등보통학교 정구단 등 6개 정구단이 참가했다.[1][2][3]
1923년 10월 15일 소학부 남자 단체 준결승 경기가 종료된 후, 15시 30분부터 중학부 남자 단체 종목 1라운드 경기가 시작되었다. 휘문고등보통학교 정구단과 배재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간의 1라운드 첫 번째 경기는 휘문고등보통학교 정구단이 3:0으로 이기며 준결승에 진출했고, 16시 40분에 시작된 동광학교 정구단과 양정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간의 1라운드 두 번째 경기는 양정고등보통학교 정구단이 3:1로 이기며 준결승에 진출했다.[4]
1923년 10월 16일 9시에 시작된 송도고등보통학교 정구단과 휘문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간의 준결승 첫 번째 경기는 휘문고등보통학교 정구단이 3:0으로 이기며 결승에 진출했고, 같은 날 10시 20분에 시작된 광성고등보통학교 정구단과 양정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간의 준결승 두 번째 경기는 양정고등보통학교 정구단이 3:2로 이기며 결승에 진출했다.[4]
1923년 10월 17일 14시 20분에 시작된 휘문고등보통학교 정구단과 양정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간의 결승 경기는 휘문고등보통학교 정구단이 3:0으로 이기며 우승을 차지했다.[5]
5. 3. 소학부
소학부 남자 단체 종목에서는 보성초등학교 정구단, 선천공립보통학교 정구단, 송도제이보통학교 정구단, 송도제일보통학교 정구단, 인현공립보통학교 정구단, 진남포제일공립보통학교 정구단 등 6개 정구단이 참가했다.[1][2][3]
1923년 10월 15일 10시 30분에 시작된 송도제일보통학교 정구단과 진남포제일공립보통학교 정구단 간의 1라운드 첫 번째 경기는 진남포제일공립보통학교 정구단이 3:1로 이기며 준결승에 진출했고, 같은 날 12시 10분에 시작된 선천공립보통학교 정구단과 송도제이보통학교 정구단 간의 1라운드 두 번째 경기는 선천공립보통학교 정구단이 3:1로 이기며 준결승에 진출했다.[7]
1923년 10월 15일 13시 10분에 시작된 인현공립보통학교 정구단과 보성초등학교 정구단 간의 준결승 첫 번째 경기는 보성초등학교 정구단이 3:0으로 이기며 결승에 진출했고,[7] 같은 날 14시에 시작된 진남포제일공립보통학교 정구단과 선천공립보통학교 정구단 간의 준결승 두 번째 경기는 선천공립보통학교 정구단이 3:2로 이기며 결승에 진출했다.[7]
1923년 10월 17일 13시에 시작된 선천공립보통학교 정구단과 보성초등학교 정구단 간의 결승 경기는 선천공립보통학교 정구단이 3:0으로 이기며 소학부 남자 단체 종목 초대 우승을 차지했다.[5]
6. 메달 집계
1923년 전국체육대회 정구 종목에는 경기도, 평안북도, 평안남도, 함경남도, 전라남도 등 5개 지역에서 선수단이 참가했다. 경기는 청년부, 중학부, 소학부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부문 | 순위 | 지역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청년부 | 1 | 경기도 | 1 | 1 | 1 | 3 |
2 | 함경남도 | 0 | 0 | 1 | 1 | |
3 | 전라남도 | 0 | 0 | 0 | 0 | |
3 | 평안남도 | 0 | 0 | 0 | 0 | |
중학부 | 1 | 경기도 | 1 | 1 | 1 | 3 |
2 | 평안남도 | 0 | 0 | 1 | 1 | |
합계 | 2 | 2 | 4 | 8 | ||
소학부 | 1 | 평안북도 | 1 | 0 | 0 | 1 |
2 | 경기도 | 0 | 1 | 1 | 2 | |
3 | 평안남도 | 0 | 0 | 1 | 1 | |
합계 | 2 | 2 | 4 | 8 |
종합 순위에서는 경기도가 금메달 2개, 은메달 3개, 동메달 3개로 1위를 차지했고, 평안북도가 금메달 1개로 2위, 평안남도가 동메달 2개로 3위를 기록했다.
6. 1. 최종 순위
6. 2. 부문별 메달 집계
부문 | 순위 | 지역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청년부 | 1 | 경기도 | 1 | 1 | 1 | 3 |
2 | 함경남도 | 0 | 0 | 1 | 1 | |
3 | 전라남도 | 0 | 0 | 0 | 0 | |
3 | 평안남도 | 0 | 0 | 0 | 0 | |
중학부 | 1 | 경기도 | 1 | 1 | 1 | 3 |
2 | 평안남도 | 0 | 0 | 1 | 1 | |
합계 | 2 | 2 | 4 | 8 | ||
소학부 | 1 | 평안북도 | 1 | 0 | 0 | 1 |
2 | 경기도 | 0 | 1 | 1 | 2 | |
3 | 평안남도 | 0 | 0 | 1 | 1 | |
합계 | 2 | 2 | 4 | 8 |
6. 3. 메달 수상자
구종태김원태
안정원
연학년
정규창
황명원
강선형
김영환
박두호
유정희
이종철
장상유
고희서
김원량
김필응
양승택
이경구
이하영
함흥체육회 (함남)
김수복
이동윤
이택용
최석일
한태환
황동익
김안식
남궁호
손흥원
이홍정
장원진
조택원
김광소
김백운
김연창
심윤중
유재희
이동근
김석희
송선호
옥영빈
우호근
이관용
이성배
송도고등보통학교 (경기)
방계환
유은상
이련업
이우번
이홍종
한진영
김진국
문창렬
이윤성
정인진
정창환
최도흥
송영의
신달식
이교필
이다복
전창기
조덕선
김상용
손윤산
윤이봉
이광우
이종탁
정문택
진남포제일공립보통학교 (평남)
김제보
배선덕
배선칠
신을용
이시영
이종일